Intro
개발자로 활동한 지난 4년간 창업, 퇴사, 연애, 질병, 가족문제 등 개인적인 삶에 있어서 여러 굴곡이 있었습니다.
이제까지 아무 문제 없이 잘 살아왔고 성격적인 문제나 나의 장단점을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학생 신분을 벗어나 사회생활을 하고 여러가지 사건들을 겪으면서 이 생각들이 깨지고 가치관이 바뀌면서 정말 많이 힘들어하고 성장하기도 했습니다.
이 과정에 있어서 MBTI, Spiral Dynamics 등의 다양한 심리학 이론에 관심이 생겼고 이를 공부하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렌즈와 관점을 배우고 Transformation Dilema(생각과 가치관의 변화로 찾아오는 고통, 딜레마)를 겪을 때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던 MBTI 이론부터 이 글을 통해서 자세하게 설명해보려 합니다.
이 글은 MBTI 유형 설명, 궁합, Stereotype 등의 내용은 들어있지 않고 MBTI의 원리와 8기능, 4 Sides Of Mind 등의 이론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시들은 INTP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어서 자신의 타입에 맞는 "MBTI 유형별 특징"이나 8기능 분석은 다른 글을 통해서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What is MBTI?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정신분석학자 칼 융(Carl 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만든 성격 유형 검사 도구입니다. 네 가지의 상대적인 선호 지표를 조합해 총 16가지의 성격 유형이 나올 수 있고성격 유형을 16가지로 분류합니다.
MBTI는 사람이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서 에너지 방향, 인식 방법, 판단 방법 그리고 생활 양식을 기준으로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고 행동하는지를 설명해줄 수 있는 좋은 심리학 이론입니다.
MBTI에 대한 오해
https://www.psychologyjunkie.com/7-of-the-biggest-misunderstandings-about-the-myers-briggs-system/
MBTI 시험을 보고 나서 생활을 하다보면 "나는 E 성향인데 왜 사람들이랑 있으면 기운이 빠지지? 나는 F 인데 왜 남의 감정만 돌보다가 내 감정은 못돌보지?"처럼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들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MBTI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나면 단순히 "E = 외향적인 사람", "I = 내향적인 사람"으로 해석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MBTI에 대해서 정확하게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려 합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정리를 하고 있기에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는데 댓글을 통해 잘못된 내용을 말씀주시면 바로 반영하겠습니다 :)
4가지 MBTI 유형
MBTI는 4가지의 글자를 통해 성격을 표현합니다.
각 글자가 의미하는 내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Where you focus your attention. 나의 관심이 어디를 향하는지
> 외향적(Extraversion) or 내향적(Introversion) - The way you take in information.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
> 감각(Sensing) or 직관(INtuition) - How you make decisions. 판단을 내리는 방법
> 생각(Thinking) or 느낌, 감정(Feeling) - How you deal with the world.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 생활양식
> 판단(Judging) or 인지(Perceiving)
각 글자들이 의미하는 바를 알았다면 "MBTI의 8 기능(8 cognitive functions)" 개념을 통해서 더 자세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8가지 인지 기능(8 cognitive functions)" 이란?
MBTI 이론은 개인이 세상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신적 과정(Mental Process)인 8가지 인지 기능을 정의했습니다.
https://www.cognitiveprocesses.com/
8가지 인지 기능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 A. 세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4개의 "인식" 기능과
- B. 그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되는 4개의 "판단" 기능입니다.
모든 사람은 8가지의 인지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각 기능들이 사용되는 빈도와 능숙도는 사람마다/MBTI 유형마다 달라집니다.
먼저 인식 기능부터 살펴보겠습니다.
A. 인식 기능 (Perceiving Function)
인식 기능은 2번째 글자인 S/N 과 첫번째 글자인 I/E를 조합해서 표현됩니다.
- Se(Extraverted Sensing)
: 오감을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오감으로 잘 느끼고, 새로운 경험과 신체 활동을 즐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 잘 발달된 사람은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일들을 너무 잘 파악하고 현재 내가 느끼는 것. 을 바탕으로 행동양식이 나타납니다.
더보기외향적 인지(Se) 기능은 즉각적인 상황을 경험하고 물리적 세계에서 조치를 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예민하고 감각 정보에 대한 적응도가 높다. 그들은 변화와 행동의 기회를 알아차리고, 새로운 자극에 빠르게 반응한다.
Se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일상 생활을 하면서 가시적인 반응과 관련 데이터를 찾기 위해 환경을 지속적으로 스캔합니다. 그들은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주변을 탐험함으로써 경험을 쌓습니다. 그들은 스포츠나 춤과 같은 신체적인 활동을 즐길 수 있고, 종종 실제적인 일을 포함하는 직업에 끌린다.
Se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세상을 탐험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다양한 아이템을 입어보고 그들이 어떻게 보이는지 보는 것이다. 그들은 스타일 감각이 강하고 새로운 패션과 액세서리를 실험하는 것을 즐긴다. 그들은 또한 시각 예술에 끌리고, 그들의 감각을 끌어들이고, 순간의 본질을 포착하는 예술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외부 반전 감지 기능은 많은 사람들의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며, 그들이 그들 주변의 세상과 완전히 접촉하고 삶을 최대한 경험하도록 도울 수 있다. - Si(Introverted Sensing)
: 과거의 경험과 감각적 인상을 떠올리고 정리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세부 사항에 대한 기억력이 강하고 전통과 일상의 루틴함을 보존하는 것을 즐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 잘 발달된 사람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을 잘 기억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고하는 것을 매우 잘 합니다.
더보기내향적 감지(Si) 인지 기능은 과거 경험을 검토하고 현재 상황의 기준점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전통과 연속성에 대한 감각이 강하고, 저장된 인상을 떠올리고 패턴을 인식하는 데 능숙하다.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S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종종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링크를 찾는다. 그들은 자신의 과거 경험을 현재를 이해하기 위한 지침으로 사용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Si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과거를 환기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사물이 항상 그래왔던 방식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들은 전통과 역사에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종종 족보, 역사 연구 또는 문화 보존과 같은 활동을 즐긴다.
일상생활에서, S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마지막으로 특정한 옷을 입었을 때 또는 그들이 마지막으로 유사한 행사에 있었던 때를 기억할 수 있다. 그들은 이러한 기억을 현재의 선택과 결정을 안내하는 데 사용합니다. 그들의 과거 경험과 축적된 지식을 활용함으로써, 그들은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내향적 감지 기능은 많은 개인의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며, 새로운 도전과 경험에 직면하여 기반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The Introverted Sensing (Si) cognitive function involves reviewing past experiences and using them as a reference point for current situations. Individuals who use this function have a strong sense of tradition and continuity, and are adept at recalling stored impressions and recognizing patterns.
When faced with a new situation, individuals who use Si often seek out detailed information and links to what they already know. They use their past experiences as a guide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and are able to draw upon accumulated data to make informed decisions.
One way that individuals who use Si evoke the past is by recognizing the way things have always been. They have a deep appreciation for tradition and history, and often enjoy activities like genealogy, historical research, or cultural preservation.
In everyday life, individuals who use Si may recall the last time they wore a particular item of clothing or the last time they were at a similar event. They use these memories to help guide their current choices and decisions. By drawing on their past experiences and accumulated knowledge, they are able to make sense of the present and prepare for the future.
Overall, the Introverted Sensing func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many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can help them to stay grounded in the face of new challenges and experiences. - Ne(Extraverted iNtuition)
: 가능성을 창출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호기심이 많고 상상력이 풍부한 경향이 있으며, 브레인스토밍과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추측하는 것을 즐깁니다.
이 기능을 잘 쓰는 사람들은 나의 미래보다는 남의 미래를 예측하는걸 잘 합니다.
더보기외향적 직관(Ne) 인지 기능은 상황과 관계를 해석하고 변화와 성장의 가능성에 이끌리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은 사물 간의 의미와 상호 연결에 고도로 적응하고, 다른 사람이 놓칠 수 있는 패턴과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Ne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항상 새롭고 흥미로운 가능성을 경계한다. 그들은 종종 "이미 존재하는 것"을 "이렇게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바꾸도록 이끌리고,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개념을 탐구한다.
Ne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그들 주변의 세계를 해석하는 한 가지 방법은 말하지 않은 것을 알아차리고 여러 맥락에서 나타나는 의미의 스레드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들은 서로 다른 말, 행동, 행동의 가능한 의미를 인식하는 데 능숙하며, 겉보기에 이질적인 생각과 개념 사이의 연결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한 행사에 무엇을 입을지 결정할 때, Ne를 사용하는 개인은 다른 옷 선택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가능한 의미를 고려할 수 있다. 그들은 특정 색상이나 스타일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식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상을 선택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외향적인 직관 기능은 많은 사람들의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며, 그들이 열린 마음을 유지하고 새로운 생각과 경험에 수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Ne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어떤 상황에도 내재된 가능성을 인식함으로써 새로운 경로를 도표화하고 흥미로운 기회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
The Extraverted Intuition (Ne) cognitive function involves interpreting situations and relationships, and being drawn to possibilities for change and growth. Individuals who use this function are highly attuned to the meanings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things, and are able to recognize patterns and connections that others may miss.
When faced with a new situation, individuals who use Ne are always on the lookout for new and interesting possibilities. They are often drawn to change "what is" for "what could possibly be," and are constantly exploring new ideas and concepts.
One way that individuals who use Ne interpret the world around them is by noticing what is not said and picking up on threads of meaning that emerge across multiple contexts. They are skilled at recognizing the possible meanings of different words, actions, and behaviors, and are able to make connections between seemingly disparate ideas and concepts.
For example, when deciding what to wear for an important event, an individual who uses Ne might consider the possible meanings that different clothing choices could communicate. They might think about how certain colors or styles might be perceived by others, and use this information to choose an outfit that conveys the desired message.
Overall, the Extraverted Intuition func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many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can help them to stay open-minded and receptive to new ideas and experiences. By recognizing the possibilities inherent in any situation, individuals who use Ne are able to chart new paths and pursue exciting opportunities. - Ni(Introverted iNtuition)
: 정보를 종합하고 숨겨진 의미와 패턴을 찾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내성적이고 통찰력이 있는 경향이 있으며, 목적이나 운명이 있다는 것을 믿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기능을 잘 쓰는 사람들은 나의 미래를 예측하는걸 잘 합니다. 직관이 매우 잘 발달된 사람들입니다.더보기내향적 직관(Ni) 인지 기능은 외부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시사점과 가능한 효과를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무엇이 될 것인가"를 실현하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사물을 보는 방법을 개념화하는 데 능숙하다.
Ni을 사용할 때, 개인은 변화를 상상할 수 있고 심오한 의미 또는 광범위한 상징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그들은 사건과 경험 뒤에 숨겨진 더 깊은 의미를 이해하는 데 능숙하며, 종종 다른 사람들이 놓치는 패턴과 연결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의상을 입고 있는 자신을 상상하거나 행동의 변화를 고려할 때, Ni을 사용하는 개인은 표면 수준의 세부 사항을 넘어 그들의 선택의 더 깊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그들의 행동의 가능한 영향을 예측할 수 있고 그들의 장기적인 목표와 열망에 맞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내향적 직관 기능의 장점 중 하나는 개인이 자신과 다른 사람을 위해 더 나은 미래를 구상할 수 있도록 돕는 능력이다. 사물을 보는 새로운 방식을 개념화하고 변화를 구상함으로써, Ni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새로운 경로를 도표화하고 그들 주변의 세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내향적 직관 기능은 많은 사람들의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며, 그들이 목표와 포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그들의 선택의 더 깊은 의미를 이해하고 더 나은 미래를 구상함으로써, Ni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삶과 그들 주변의 세계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 수 있다.
----------------------------------
The Introverted Intuition (Ni) cognitive function involves foreseeing implications and likely effects without relying on external data. Individuals who use this function have a unique ability to realize "what will be" and are skilled at conceptualizing new ways of seeing things.
When using Ni, individuals are able to envision transformations and get an image of profound meaning or far-reaching symbols. They are adept at understanding the deeper meaning behind events and experiences, and can often see patterns and connections that others miss.
For example, when envisioning themselves in a particular outfit or considering a change in behavior, individuals who use Ni are able to see beyond the surface level details and understand the deeper implications of their choices. They are able to foresee the likely effects of their actions and make decisions that align with their long-term goals and aspirations.
One of the strengths of the Introverted Intuition function is its ability to help individuals envision a better future for themselves and others. By conceptualizing new ways of seeing things and envisioning transformations, individuals who use Ni are able to chart new paths and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world around them.
Overall, the Introverted Intuition func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many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can help them to stay focused on their goals and aspirations. By understanding the deeper implications of their choices and envisioning a better future, individuals who use Ni are able to create meaningful change in their own lives and in the world around them.
B. 판단 기능 (Judging Function)
판단 기능은 3번째 글자인 T/F 과 첫번째 글자인 I/E를 조합해서 표현됩니다.
- Te(Extraverted Thinking):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분석하고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경향이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고 사실에 근거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즐깁니다.
이 기능이 잘 발달된 사람은 논리적으로 여러가지 이론들을 분석해서 나만의 논리를 만들어내는 것 보다는 기존의 이론이나 팩트들 중 제일 말이 되는 것을 찾고 이를 적용하는 것을 잘합니다.
더보기외향적 사고(Te) 인지 기능은 세분화, 효율성을 위한 조직화, 체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Te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논리를 적용하고, 그들의 생각과 환경을 구조화하며, 결과를 확인하는 데 능숙하다.
Te를 사용할 때 개인은 표준이나 규격이 충족되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경계, 지침 및 매개변수를 편안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실용적인 접근법을 가지고 있고, 어떤 것이 효과가 있는지 아닌지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의상에 대해 다른 색상과 스타일을 분류할 때, Te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의사 결정 과정에 논리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그들은 편안함과 실용성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고, 그들의 선택의 결과를 저울질한다. 그들은 스스로에게 "하루 종일 서 있어야 하는데, 어떤 신발이 가장 편하고 힘이 될까요?"와 같은 질문을 할 수도 있다?"
Extraverted Thinking 기능의 장점 중 하나는 개인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능력입니다. Te를 사용하는 개인은 정보를 세분화하고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목표와 목표에 집중할 수 있으며, 감정이나 감상성보다는 실제적인 고려사항에 따라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전반적으로, 외향적인 생각 기능은 많은 사람들의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며, 그들이 그들의 개인적인 삶과 직업적인 삶 모두에서 조직적이고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Te를 사용하는 개인은 논리를 적용하고, 경계를 설정하고, 충족되는 기준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하고, 주변 세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
The Extraverted Thinking (Te) cognitive function is focused on segmenting, organizing for efficiency, and systematizing. Individuals who use Te are skilled at applying logic, structuring their thoughts and environment, and checking for consequences.
When using Te, individuals are constantly monitoring for standards or specifications being met, and are comfortable setting boundaries, guidelines, and parameters. They have a practical approach to problem-solving and are able to quickly identify if something is working or not.
For example, when sorting out different colors and styles for an outfit, individuals who use Te are able to quickly apply logic to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They consider factors such as comfort and practicality, and weigh the consequences of their choices. They might ask themselves questions like, "Since I have to stand all day, which shoes will be the most comfortable and supportive?"
One of the strengths of the Extraverted Thinking function is its ability to help individuals make efficient and effective decisions. By segment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individuals who use Te are able to stay focused on their goals and objectives, and are able to make decisions based on practical considerations rather than emotion or sentimentality.
Overall, the Extraverted Thinking func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many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can help them to stay organized and focused in both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By applying logic, setting boundaries, and monitoring for standards being met, individuals who use Te are able to achieve their goals and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world around them. - Ti(Introverted Thinking): 논리적이고 주관적인 방식으로 아이디어와 개념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독립적이고 정확한 경향이 있으며, 사물 뒤의 기본 원리를 탐구하는 것을 즐깁니다.
이 기능이 잘 발달된 사람은 여러가지 이론들을 통해 나만의 논리로 이론화 시키고 이를 적용하는 것을 잘 합니다. Ti가 주 기능인 INTP는 평균 IQ가 제일 높은 타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더보기내향적 사고(Ti) 인지 기능은 원칙에 따라 정보를 분석, 분류,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T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어떤 것이 작동하는 원리를 파악하는 데 능숙하며, 일관성이 없거나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Ti를 사용할 때, 개인은 더 정확하고 명확한 정보를 얻는 데 초점을 맞추고 복잡한 개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정의를 명확하게 하는 데 능숙합니다. 그들은 정보가 그들의 기존 프레임워크나 모델에 맞는지에 따라 평가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론을 탐구하는 데 편안하다.
예를 들어, 무엇을 입을지에 대한 옵션을 분석할 때 T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편안함이나 색상 심리와 같은 원칙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빨간색은 파워 컬러이기 때문에 좀 더 자신감을 갖기 위해 빨간색 옷을 입고 싶다"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그들은 또한 패션이나 유행의 원칙을 고려하여 특정한 조각들이 그러한 틀에 어떻게 들어맞는지 분석할 수 있다.
내향적 사고 기능의 장점 중 하나는 복잡한 정보에 대한 개인의 깊은 이해를 돕는 능력이다. Ti를 사용하는 개인은 원칙에 따라 정보를 분류하고 평가함으로써 새로운 통찰력과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으며, 주변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이나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내성적인 생각 기능은 많은 개인의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며, 복잡한 생각과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i를 사용하는 개인은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고 원칙에 따라 평가하고 불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고 주변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
The Introverted Thinking (Ti) cognitive function is focused on analyzing, categorizing, and evalua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inciples. Individuals who use Ti are skilled at figuring out the principles on which something works, and are constantly checking for inconsistencies or gaps in their understanding.
When using Ti, individuals are focused on getting more precision and clarity, and are adept at clarifying definitions to better understand complex concepts. They evaluate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it fits within their existing framework or model, and are comfortable exploring new ideas and theories.
For example, when analyzing options for what to wear, individuals who use Ti might consider principles like comfort or color psychology. They may think, "Red is a power color, so I want to wear something red to feel more confident." They might also consider the principles of fashion or current trends, analyzing how certain pieces fit within those frameworks.
One of the strengths of the Introverted Thinking function is its ability to help individuals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complex information. By categorizing and evalua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inciples, individuals who use Ti are able to uncover new insights and ideas, and are able to develop new theories or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the world around them.
Overall, the Introverted Thinking func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many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can help them to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complex ideas and concepts.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information, evaluating it according to principles, and checking for inconsistencies, individuals who use Ti are able to make informed decisions and develop new theories and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the world around them. - Fe(Extraverted Feeling): 타인의 감정적 욕구와 가치를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공감적이고 외교적인 경향이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조화로운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즐깁니다.
이 기능이 잘 발달되어 있는 사람은 남의 감정을 파악하는걸 매우 잘하며 이들의 감정을 보살피는 것을 잘 합니다. 하지만 남의 감정을 보살피다가 나의 감정이 상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남은 나만큼 잘 하지 못하기 때문)
더보기외향적 감정(Fe) 인지 기능은 다른 사람들과 연결하고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그들의 가치와 감정을 존중하도록 조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Fe를 사용하는 개인은 타인의 요구를 고려하고 사회적, 조직적 또는 집단적 가치를 유지하는 데 능숙하다.
Fe를 사용할 때, 개인은 다른 사람들에게 적응하고 수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그것을 인식할지에 따라 어떤 것이 적합한지 또는 수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능숙하다. 그들은 사회적 조화를 우선시하고 종종 그들의 행동이나 결정이 그들의 공동체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하면서 집단 역학에 적응한다.
예를 들어, 사회적 행사를 위해 무엇을 입을지 고려할 때, Fe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스스로에게 "그 행사의 복장 규정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그 자리에 무엇이 적당할까요?" 그들은 또한 그들의 의상이 그룹과 잘 어울릴지, 아니면 그들을 너무 돋보이게 만들지와 같은 요소들을 생각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식될지를 고려할 수도 있다.
'외향적 감정' 기능의 장점 중 하나는 강력한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타인의 욕구와 감정을 우선시함으로써 Fe를 사용하는 개인은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사회 역학과 집단 상황을 탐색하는 데 능숙하다.
전반적으로, 외향적 감정 기능은 많은 개인의 성격의 중요한 측면이며, 그들이 강한 사회적 연결을 형성하고 다른 사람들과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울 수 있다. 집단의 필요와 가치를 고려하고, 타인에 적응하고 수용하며, 사회적 화합을 우선시함으로써 Fe를 사용하는 개인은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복잡한 사회 상황을 탐색하는 데 능숙하다.
-----------------------------
The Extraverted Feeling (Fe) cognitive function is focused on connecting with others and organizing to meet their needs and honor their values and feelings. Individuals who use Fe are skilled at considering the needs of others and maintaining societal, organizational, or group values.
When using Fe, individuals are focused on adjusting to and accommodating others, and are adept at deciding whether something is appropriate or acceptable based on how it will be perceived by others. They prioritize social harmony and are attuned to group dynamics, often considering how their actions or decisions will impact others in their community.
For example, when considering what to wear for a social event, individuals who use Fe might ask themselves questions like, "What is the dress code for the event? Wha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occasion?" They might also consider how their outfit will be perceived by others, thinking about factors like whether it will fit in with the group or whether it will make them stand out too much.
One of the strengths of the Extraverted Feeling function is its ability to create strong social connections and foster harmonious relationships. By prioritizing the needs and feelings of others, individuals who use Fe are able to create a positive and supportive social environment, and are skilled at navigating social dynamics and group situations.
Overall, the Extraverted Feeling func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many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can help them to create strong social connections and foster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considering the needs and values of the group, adjusting to and accommodating others, and prioritizing social harmony, individuals who use Fe are able to create a positive and supportive social environment, and are skilled at navigating complex social situations. - Fi(Introverted Feeling): 자신의 감정, 가치, 윤리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데 초점을 맞춘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은 민감하고 진정성이 있는 경향이 있으며 개인적 정체성과 목적에 대한 강한 감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이 잘 발달되어 있는 사람은 자신의 기분과 자신의 가치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외부적인 요인이나 다른 사람들의 의견보다 개인적인 가치를 우선시 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내향적인 느낌(Fi)은 사물의 중요성과 가치를 평가하고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이다. 그것은 어떤 부조화를 감지하기 위한 상황이나 결정을 검토하고, 그것의 기초가 되는 근본적인 진실에 기초하여 어떤 것을 평가하고, 자신 안에서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개인적인 가치를 명확히 하는 것을 포함한다. 피에이저들은 종종 그들의 내부 가치 체계에 근거하여 어떤 것이 중요하고 옹호할 가치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그들이 옷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할 때, 강한 파이를 가진 누군가는 그 옷이 그들의 개인적인 가치관과 자기 감각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를 기준으로 그 옷을 평가할 수 있다. "이 옷은 내가 누구인지를 반영하는가?" 또는 "이 옷은 내 피부에 편안하고 자신감을 갖게 하는가?"와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진다 불청객들은 내부적인 믿음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며 외부적인 요인이나 다른 사람들의 의견보다 개인적인 가치를 우선시할 수 있다.
-----------------------
Introverted Feeling (Fi) is a cognitive function that involves valuing and considering the importance and worth of things. It involves reviewing situations or decisions to detect any incongruity, evaluating something based on the fundamental truths on which it is based, and clarifying personal values to achieve harmony within oneself. Fi users often decide if something is of significance and worth standing up for based on their internal value system.
For example, when deciding whether they like an outfit or not, someone with strong Fi might evaluate the outfit based on how well it aligns with their personal values and sense of self, asking themselves questions like, "Does this outfit reflect who I am?" or "Does this outfit make me feel comfortable and confident in my own skin?" Fi users are motivated by internal beliefs and may prioritize their personal values over external factors or the opinions of others.
이제까지 8가지 인지 기능을 살펴보았는데 그럼 이 8 기능중 어떤게 강하고 어떤게 약한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MBTI는 8기능을 위계화해서 어떤 기능이 발달했는지, 어떤 기능이 약한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8 인지 기능"의 위계 차트
위 차트는 각 MBTI 타입별로 8기능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차트입니다. 위 차트에서 자신에게 맞는 MBTI를 확인해서 각 기능들의 역할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INTP 타입이고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Ti -> Ne -> Si -> Fe -> Te -> Ni -> Se -> Fi 순으로 8기능이 정렬됩니다.
(잘 설명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되는데 글을 읽고도 이해가 잘 가지 않으신다면 아래 라이브 방송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Tomorrow Collective 민병은 대표님 라방(Real MBTI. Not Fake Shit Part 2.)
1. 주 기능(1) ~ 열등 기능(4). 4 Sides of Mind 중에서 자아(Ego)를 나타낸다.
1~4 기능은 자아를 나타내는 기능이고 제일 주된 "성격"을 형성합니다. 의식적인 사고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4 sides of mind는 따로 설명하기가 어려워서 pdf 자료를 첨부합니다. 기회가 되면 추가설명 또는 추가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1. 주 기능 / 영웅기능 (Dominant Function. Hero Function. Heroine Function)
: 8 기능 중 가장 강력한 기능이고 숨 쉬듯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정보를 처리하고 결정을 내리는 가장 잘 발달되고 자연스럽게 느끼는 기능입니다. 의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작동되며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평생에 걸쳐 마치 '영웅'처럼 당신을 도와주고 지탱해줍니다. 이 기능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일을 할 때 폭발적인 성과를 자연스럽게 낼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지게 됩니다.
주 기능은 주로 청소년기인 13~16세에 주로 발달되어서 평생 이 기능을 제일 편하게 느끼고 사용하며 살아갑니다.
저의 경우 "Ti"가 주 기능입니다. 논리적인 사고를 하길 좋아하며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이벤트들과 현상들을 논리로서 접근하기를 편해합니다. 어떤 논쟁이나 그룹간의 대화에서 섣불리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고(논리적으로 틀릴 수 있기 때문) 그룹 내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에 논리적으로 어폐가 있거나 잘못된 방향이 있으면 이를 제일 잘 캐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논리를 빠르게 펼칠 수 있습니다.
먼저 대화를 시작하기는 어려워 하지만(상대
방과 관심사가 통일되지 않았을 때 상황에 대한 두려움으로 주제 선정을 어려워한다)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말을 많이 합니다. 이 부분은 가치관이 다른 사람들의 MBTI를 공부하면서 많이 나아졌습니다.
(INTP는 더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상대방의 감정이나 가치관을 공유하는 대화를 많이 연습하는게 중요합니다.)
또한 어떤 이론, 기술, 기능을 사용할 때 기반이 되는 논리나 지식이 없으면 이를 사용하는 것을 매우 꺼려하고 불안해합니다. 나에게 중요한 것이라면 깊게 파고들어서 나에게 맞는 방향으로 체화시키는 것을 잘 합니다.
하지만 나만의 논리로 설명이 되지 않는 사회적인 관습이나 규칙에 대해서 강한 반발심이 있고 이로인해 타인과 부딪히는 경험을 많이 하게 됩니다. (ex> 예의, 청결, 식습관 등) 건강한 INTP가 되기 위해서는 세상은 비 논리적인 곳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어느정도 사회적인 통념이나 이론을 그대로 적용하고 배우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많이 필요합니다.
또한 Ti가 강한 사람의 이론은 가장 헛점이 없습니다. 반면 동시에 현실력과 실제 가치도 사라질 수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현실감 + 실행력이 있는 파트너가 있을 때 더 임팩트 있는 일을 할 수 있게 됩니다.
2. 부 기능 / 지원 기능 (Auziliary Function. Supportive Function. Good Parent)
: 8 기능 중 두 번째로 잘 발달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주 기능을 지원하고 균형을 맞추고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보조 기능은 잘 발달되어 있지만 주 기능만큼 자주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주 기능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을 때 백업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손을 뻗을 때 이 기능이 잘 쓰인다고 합니다.
부 기능은 성인이 되기 전까지(~21세) 발달됩니다.
저의 경우 "Ne"가 주 기능입니다. 저만의 논리와 세상에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을 조합해서 남의 미래를 보고 연결고리를 찾는 것을 잘 합니다. 자유로운 상상, 개방적인 사고에 뛰어난 편이며 주 기능인 "Ti"를 통해 말이 되는 논리를 찾고 "Ne"를 통해 사업 아이템이나 남을 도울 수 있는 방법 등 아이디에이션을 하는 것을 빠르게 잘 합니다. (주 기능 -> 부 기능 순서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남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어 하거나 힘든 상황에 봉착했을 때 "솔루션 제공"을 통해서 도움의 손을 뻗으려 합니다. 다만, 감정적인 서포트가 필요한 상황에서 해결책만을 제시하다가 오히려 감정을 상하게 해서 의도치 않은 피해를 입힐 때도 있습니다. 상대방의 성향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서포트를 해주는 연습이 많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1, 3번 기능을 사용할 때는 나에게 에너지가 충전되지만 2, 4번 기능을 사용할 때는 에너지가 소진됩니다. 에너지가 너무 많이 소진된 상황이라면 주 기능을 자극할 수 있는 행동이나 사고를 하면 에너지를 다시 회복할 수 있습니다.)
3. 3차 기능 / 완화 기능 (Tertiary Function. Relief Function. Eternal Child)
3차 기능은 주, 부 기능보다는 덜 발달된 기능입니다.(~25%정도 발달됨)
부 기능과 반대로 작용하며(ex> Ne <-> Si) 이 기능은 연습과 훈련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인생의 중반기까지(~25세) 잘 발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0대, 20대 중반에 이 기능을 사용하도록 강요 받으면 부담스럽게 느끼고 너무 힘들게 느껴지고 때로는 공격을 받는다는 느낌을 받아서 방어기제가 발동할 수 있습니다.
3차 기능은 인생의 중반기(25세~)부터 발달되기 시작합니다.
건강한 MBTI를 갖추기 위해서는 3차 기능을 잘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능을 잘 발달시키면 더 성숙한 방식으로 주 기능과 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때 주 기능과 부 기능을 활용해 도움을 준 다음 3차 기능을 도입해서 설득을 하거나 보살핌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는 주 기능과 부 기능만을 사용함으로써 나의 인생에 방향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때 3차 기능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Si"가 3차 기능입니다. 과거의 일을 떠올리는 것을 잘 하지 못하며 암기가 강요되는 상황에서 고통스러워 합니다. 또한 과거의 잘 되지 않았던 경험을 까맣게 잊고 그 당시 배웠던 것들을 까먹고 다시 공부를 하거나 다시 경험을 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 고등학교 시절 한국사나 국어, 암기가 필요한 생물 시험 등에 많은 어려움을 많이 겪었습니다. 반면 수학과 같이 논리적인 사고가 기반이 되는 과목은 쉽게 접근이 가능했습니다.
- 연인과의 다툼에서 과거의 일을 잘 기억하지 못해 근거가 없이 나의 논리를 펼치다가 돌이켜보면 완전 잘못된 판단이었던 경험들이 있습니다. 또한 역으로 하고싶은 말이 있어도 과거의 일을 기억하지 못해 하고 싶은 말을 못 하는 상황들도 많이 겪습니다.
- 가족 구성원의 건강 때문에 장기간 투병생활을 서포트 한 적이 있는데 과거에 의사 선생님이 알려주셨던 방법들을 잊고 새로운 방식을 매번 찾으며 고생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주 기능과 부 기능만을 사용해 잘못된 방식으로 운동을 서포트 해왔던 행동들이 많이 후회되고 이 기억으로 아직까지 많이 힘들어합니다. (3차 기능을 잘 발달시키고 의식적으로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야 인생에서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은 경험입니다.)
- 과거에 한 말을 기억하지 못해 곤란한 상황들을 겪은 적이 많습니다. "하고싶은 것"을 이야기하지 않고 "실제로 할 것"을 이야기하는 습관을 들이고 한 말, 들은 말을 최대한 기억하려는 노력을 통해 많이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4. 열등 기능 / 열망 기능 (Inferior Function. Aspirational Function)
8 기능들 중에서 가장 발달이 덜 된 기능입니다. 주 기능과 반대로 작용하며(ex> Ti <-> Fe) 제일 약하지만 제일 얻고싶어 하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인생의 초기에 이 기능을 사용했다가 실패한 경험들이 실패와 수치심의 원천이 되며 이를 약점으로 인식하고 숨기고 싶어 합니다.
이 기능은 의식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노력을 하면 큰 만족감과 돌파구를 찾아낼 수 있는 기능입니다. 3차 기능과 마찬가지로 자기 성장과 휴식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능이고 생계를 위해서 사용되는 주요한 기능은 아닙니다.
4차 기능은 35세 정도부터 발달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4번째 열등 기능은 "무의식"으로 통하는 문으로 여겨집니다. (4 sides of mind 이론) 자세한 내용은 "The Inferior Function: An Overlooked (But Potent) Personality Factor" 블로그를 통해 배울 수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Fe"가 열등 기능입니다. 남의 감정을 파악하는걸 어려워하며 인간관계와 교제에 예민하고 어려워합니다.
마음에 없는 이야기로 환심을 사기 힘들며 "이해"를 베이스로 한 이야기를 할 수는 있지만 진실된 "공감"을 통해 이야기를 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저의 경우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많이 극복한 상태이며 에너지가 많이 들더라도 진실된 "공감"를 통해 대화의 발판을 시작하는 법을 어렵게 배웠습니다. 현재 의사소통의 맥락에 맞는 기능을 파악하고 이를 자극시켜서 의식적으로 대화에 잘 참여하는 방식을 연습하는 중입니다. 열등 기능을 잘 발달시키면 개인의 삶이 더 풍요로워지며 해당 기능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을 때 빛을 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반대 기능 (5) ~ 악마/변화 기능(8). 4 Sides of Mind 중에서 무의식(Shadow/Unconscious)를 나타낸다.
5~8 기능은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기능입니다. 열등감을 느낄 때 트리거 되고 방어적인 태도를 취할 때 이 5~8 네가지 기능이 사용됩니다.
5~8까지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은 쉽습니다. 1~4까지의 기능에서 I -> E로 바꾸고 E -> I로 바꾸면 됩니다. (ex> 1차 Ti -> 5차 Te)
환경이 당신의 주기능과 부기능을 지지하여주고, 당신다운 문제 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면 기본적으로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지만, 아래처럼 환경이 불리하게 작용할 때가 있습니다. (블로그 에서 스크랩 해왔습니다.)
- 주변 사람이나 환경이 당신에게 반대 기능을 강요한다.
(예) "김과장! 너 회사에서 혼자 일해?" (사고형에게 감정형의 문제 해결 방식을 강요) - 주기능과 부기능이 반대 기능을 요하는 특정 문제 해결에 실패한다.
(예) 피아노의 기초 연습이 부족하나, 연습이 너무나도 지루하여 수행하지 못한다. (감각형에게 유리한 문제를 직관형이 도전하여 실패)
당신의 주기능과 부기능이 실패를 거듭하는 상황에 놓여지게 되면, 스트레스는 점점 강해지고, 점점 더 방어적인 모습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모습은 5~8기능의 순서로 나타나게 됩니다. (무의식 상태로 접어듭니다)
5. 반대 기능 / 보복, 복수 (Opposing Function. Nemesis Function)
무의식 기능중에서 가장 강력한 기능입니다. 주된 방어기재로서 사용됩니다. 이 기능은 당신이 완고하고, 비 협조적이며, 비우호적이거나, 무례하게 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주 기능의 대안 기능이기도 합니다. 잘 쓸 수 있고 가치를 알지만 이 기능을 사용할 때는 에너지 소모가 크고 주 기능을 포기하고 써야하기 때문에 타인에게 시키는 것을 좋아하는 기능입니다.
저의 경우 "Te"가 반대 기능입니다. 뻔한 답이 있어도 처음부터 제대로 실행해보거나 바닥부터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실행하기를 어려워합니다. 따라서 실제 실행 능력은 높은 편이지만 과정에 집착할 때가 있고 1~3차 기능(Ti + Ne + Si)로 5차기능(Te)를 대체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목적을 달성하는데 까지 돌아갈 때가 많습니다.
융통성이 부족하게 비추어 질 수 있고 "목적지향"보다는 "이론을 현실화"시키는 것을 즐기는데 이로 인해 목적달성이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잘 파악하고 "Te"를 잘 사용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해당 기능을 발달시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제목 그대로 "비판적인 부모"에게 비판하는 방식을 답습해서 나타나는 기능입니다. 누구나 인생에서 비판받아본 경험이 있는데 이 경험을 토대로 남과 나를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무의식 기능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지 않지만 비판적인 생각이 나올 때 날카롭게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저의 경우 "Ni"가 비판 기능입니다. 무의식적으로 깊은 생각을 많이 하고 사회적인 주제, 통념, 사업구조, 아이디어 등 특정 주제를 날카롭게 꿰뚫어 볼 때가 많습니다. 타인이 근시안적인 생각을 하고 본인에게 좋지 않은 판단을 내리려 할 때 이를 비판하는 내면의 목소리가 강해지고 이 목소리가 심해질 경우 타인과의 관계를 정리하는 안좋은 습관이 있었습니다.
비판 기능은 내면의 목소리입니다. 내면의 비판적인 목소리가 너무 커지지 않도록 잘 조절하되 적절히 사용하여 자신을 더 성숙한 사람으로 이끌어 가는데 사용할 줄 아는 모습도 필요합니다.
7. 왜곡기능 / 부재 (Trickster Function, Abscenece)
7번째 기능은 가지고 있는지 인식조차 하지 못하고 거의 쓰지 못하는 최소 기능입니다. 핵심적으로 이 기능에 대해서 "가치"를 전혀 느끼지 못합니다. 이 기능의 부재로 인해서 남에게 비판받기 쉬우며 나에게 중요하지 않다고 제일 속이기 쉬운(Trickster = 사기꾼, 장난질 정도로 해석) 기능이기도 합니다.
저의 경우 "Se"가 Trickster 기능입니다. 외부 감각의 부재가 심하고 현실감각이 가장 떨어지는 유형입니다. 특정 감각에 둔한 경우가 많으며 현재 나의 모습에 둔감합니다. 머릿속에 수많은 생각들 때문에 말을 잘 못들을 때가 있고 소통의 중요성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여행은 좋아하는데 돌이켜보면 여행을 할 때도 관심있는 장소나 보고싶었던 것들을 볼 때 그 관심사로서 흥미를 느끼고 "노을 보기"와 같은 활동은 자연스럽게 하지 못합니다. Se가 발달되어 있는 사람과 같이 여행을 다니고 생활을 하면서 중요성을 많이 깨닫게 된 기능이지만 해당 기능의 부재로 발생하는 Side Effect들을 아직 많이 찾지 못했습니다.
8. 변화기능 / 악마기능 / 가면 (Devilish Function, Transformative Function)
마지막 8번째 기능인 Devilish Function은 가장 파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기능임과 동시에 결점을 숨기기 위해 의식적으로 눈속임으로 쓰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이 기능이 사용될 경우 좋지 않은 상황을 불러올 수 있는데, 이 태풍이 지나가고 나서 오히려 개인적인 성장과 성숙으로 이끄는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 "Fi"가 8차 기능입니다. 하고 싶은 것, 원하는 것에 대해서 집착이 있으며 이를 "친절함"과 "심적 거리"를 두려는 모습을 통해서 표현하려 합니다. 친절하다가 차갑게 느껴진다면 원하는 것이 잘 되고 있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속마음을 이야기하고 감정을 솔직하게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을 연습하고 배우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는 거절에 대한 공포가 크지만 이를 숨기기 위해 주관을 뚜렷히 하고 거절을 받으면 관계에서 멀어지고 자신을 고집하는 방식으로 이런 콤플렉스를 숨기려고 합니다. 최대한 이를 떠올리지 않고 원래 생활로 돌아갑니다. (가면 기능으로 작용)
Tips.
MBTI 분석이 처음이라면 제 글도 좋지만 "INTP 8 cognitive function analysis, explaination" 처럼 자신의 유형에 맞게 구글링/ChatGPT Query를 하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블로그1이나 블로그2 처럼 한국어로 설명을 잘 해놓은 글도 있으니 자신의 유형에 맞게 찾아서 공부를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Conclusion
이처럼 MBTI는 나의 삶을 돌아보고 어느 부분을 노력해야 하는지, 나의 강점은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이론입니다. 다른 이론들과 같이 모든게 맞지는 않지만, 공부를 통해 나에게 필요한 기능들을 파악하고 잠재적으로 위험이 있는 부분들을 미리 인지해서 더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도움을 많이 받은 이론이어서 시간되실 때 날잡고 공부를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p.s) 자료조사 하면서 적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7시간을 내리 글 작성만 했네요.. 😂 이 글이 MBTI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첫번째 블로그 글을 마칩니다 :)
Reference
- Tomorrow Collective 민병은 대표님 라방(Real MBTI. Not Fake Shit Part 2.)
- 8 Cognitive Functions
- https://chomskychannel.tistory.com/132
- MBTI 8 기능과 기능 위계
- 기타 구글링 자료들
- Thank you ChatGPT!